
COOO
권민우 Studio A, 사회 : 시설 재해석
Proposal for Urban Housing Typology through the Reconfiguration of Underutilized Commercial Facilities.

AIRBLOCK
권혁 Studio E, 기술 : 시스템 구축
UAM 상용화에 대응하여 동탄 버스터미널과 연계된 입체적 환승센터 제안

The Unbound School
금경화 Studio A, 사회 : 시설 재해석
학교는 더 이상 울타리 속의 제도 공간이 아니라 사람과 기억이 엮이는 살아 있는 공동체 구조가 된다.

무안 제주항공 참사에 대한 추모형 항공 안전 박물관
김건우 Studio B, 감각 : 경험의 건축화
항공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배울 수 있는 항공 안전 박물관을 무안 공항 근처 부지에 조성

POST 2.0
김민서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사람들이 다시 찾고 머무를 수 있는 우체국, 미래에도 유효한 공공 플랫폼으로서의 우체국 제안

TRACEBACK
김민서 Studio B, 감각 : 경험의 건축화
후천적 장애인의 감각 회복과 사회적 교류 촉진을 위한 보행 중심 재활시설 제안

S.O.U.L
김범준 Studio A, 기술 : 시스템 구축
인간와 동등한 위계에서 상호작용하는 생명체로써의 공간에 대한 실증적 탐구

열이 피운 생명, 정보가 만든 숲
김시온 Studio D, 기술 : 시스템 구축
기술(데이터)과 생명(식물)의 상호 의존적 공생을 통해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구현하는 미래 건축

중랑천 물 정화 체험관
김의인 Studio D, 감각 : 경험의 건축화
물의 정화 과정과 한강의 수생생물을 학습할 수 있는 체험학습 공간 설계

따로 또 같이
김채은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과거 공동체 공간인 목욕탕을 중심으로 한 동네 커뮤니티의 재생과 청년 유입을 위한 공간 제안

Island Complex Transportation Terminal
김하연 Studio D, 기술 : 시스템 구축
가거도의 기존 방파제를 활용하여 공항, 항구, AAM, 커뮤니티가 결합된 복합 교통 인프라를 제안한다.

GATE OF MEMORY
김한이 Studio D, 감각 : 경험의 건축화
도시 경계를 해소하고 진입을 상징화한 지하보행광장

POP-UP Horizon
김현민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거대한 냉동창고의 벽을 열어 숨겨져 있던 내부공간과 그 너머의 풍경을 드러내고 산업유산 기반의 공공 전이공간을 제안한다.

깊은 표면
김현조 Studio A, 감각 : 경험의 건축화
표면과 공간

감각 피난처
김형태 Studio A, 감각 : 경험의 건축화
지각의 확장을 통한 건축과 신체의 관계 재정의

PLA-FORM
노유정 Studio A, 기술 : 시스템 구축
도심 속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공정과 문화·커뮤니티 프로그램을 결합한 수직형 업사이클링 복합시설

두 세대의 학교
도윤환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세대 통합을 위한 초등학교와 노인복지시설의 복합시설

URBAN TERRARIUM
모상진 Studio, 감각 : 경험의 건축화
‘현대의 교회는 어떤 모습으로 사람과 도시에 기여할 수 있는가’

RE:ON
박주향 Studio A, 기술 : 시스템 구축
되실아난 열기, 살아나는 상권, 다시 이어지는 공간

다시 피는 학교
백주원 Studio E, 사회 : 시설 재해석
누구에게나 익숙한 학교를 현 사회에 맞춰 노인을 위한 낯설지만 시니어 아카데미 센터로의 전환

EXPANDABLE PLATFORM IN HANGANG-RIVER
손문기 Studio B, 기술 : 시스템 구축
한강공원의 개방된 공간이 수직적, 수평적으로 확장될 때, 그 잠재력이 공공성의 극대화로 이어질 수 있을까?

RE:STADIUM
송규석 Studio D, 감각 : 경험의 건축화
쓰이지 않는 경기장. 누구에게 돌려주어야 할까

RE:FUSE
신은수 Studio E, 기술 : 시스템 구축
혐오시설로 여겨진 소각장을, 모두가 머무는 문화의 장으로

문래동 복합문화 공연장
신재권 Studio B, 사회 : 시설 재해석
도심 속 문화 및 집회시설의 대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Not a church, But the church
안세현 Studio B, 기술 : 시스템 구축
도심 속 수직형교회의 접근성과 커뮤니티공간을 이용한 수직동선계획 탐구

시작과끝
양승환 Studio E, 사회 : 시설 재해석
군산 버스터미널 계획

3rd Headquarter
여재동 Studio A, 기술 : 시스템 구축
새로운 근무 환경의 유형으로, 거대한 단일 건물 대신 도심 교통망과 연결된 소규모 분산 거점 네트워크를 새로운 오피스 헤드쿼터 유형으로 제안한다.

URBAN LOOP – IN
염정민 Studio B, 기술 : 시스템 구축
자율주행차와 건축의 결합이 만들어낼 미래 도시공간의 프로토타입 제안

Abraxax
오민성 Studio D, 사회 : 시설 재해석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상업 공간의 구조변화 및 도심과의 융화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STACK ATHLETICA
원준호 Studio D, 기술 : 시스템 구축
체육시설, 버스터미널, 문화시설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도심에서 효율적인 토지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UPCAMPUSITY
유건 Studio D, 기술 : 시스템 구축
캠퍼스 도시 구조의 재해석을 통한 고밀도화 서울의 도심형 캠퍼스 타워 프로토타입 제안

라이스 스마트 팩토리
윤종호 Studio A, 감각 : 경험의 건축화
청년 농업인들이 논과 스마트 농기계를 임대해 농사하고 연구하여 얻은 작물을 외부인들에게 직접 경험하여 미래의 들녘 공동체를 형성하는 농업 플랫폼

Geomorphic Tectonic
이로운 Studio A, 감각 : 경험의 건축화
인간이 조건을 설계하고, 자연이 형태를 완성하는 감산형 구축 실험

경의선 미로길
이상엽 Studio E, 사회 : 시설 재해석
공간과 경험, 두 소비의 결이 만나는 지점: 연남동의 소비 흐름을 이어주는 새로운 방식 제안

The Linkspace: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상-지하 연계형 복합시설 제안
이재호 Studio E, 사회 : 시설 재해석
영등포전통시장과 지하상가의 구조적 통합과 시설 개선을 통해 공간을 연결하고 시장 활성화를 유도하는 복합시설을 제안한다.

골목 We 골목
이희찬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골목시장의 새로운 기능과 형태에 대한 고찰

CINEMA-EUL
임수현 Studio B, 사회 : 시설 재해석
전주의 조밀하고 낮은 도시조직에 어울리는 클러스터형 독립영화공간 제안

다르게, 함께
임형주 Studio E, 사회 : 시설 재해석
세대와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하면서도 그 경계를 흐리는, 엇갈림과 적층으로 이루어진 초개인화 세대통합 공동주거

일상 속의 요양
장서윤 Studio C, 감각 : 경험의 건축화
단절된 일상 속에서, 서로의 결핍을 채워주는 주거는 가능할까?

URBAN FEED
장수원 Studio B, 기술 : 시스템 구축
공간을 구독할 수 있다면?

Temporary Shelter for Flood Victims
장우창 Studio E, 감각 : 경험의 건축화
낯선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이 집적된 모듈형 임시 주거

Liquid Mountain
장태수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산과 서울은 어떻게 연결되어야 할까

공유, 다시 살아나는 동네
정창민 Studio B, 사회 : 시설 재해석
구도심에서의 공유주거를 통한 주택 공급과 지역 커뮤니티 구축

Theme Tower
조성진 Studio A, 기술 : 시스템 구축
수평적으로 펼쳐져 있던 기존 테마파크를 고밀화된 도심 속에서 수직적으로 재구성하는 새로운 공간 제안

콘크리트 도시를 넘어
조영채 Studio D, 기술 : 시스템 구축
수직 목구조로 구현하는 도심 속 친환경 아카이브

SEAMLINE SEOCHO
조현주 Studio B, 사회 : 시설 재해석
단순한 공원이 아닌, 오랜 도시 단절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고속도로 상부공간 활용

OFF THE RECORD, OPEN THE RECORD
최지성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도서관과 미디어 공간을 융합한 커뮤니티를 통해 자연과 도시, 제작과 소비의 경계를 허무는 복합시설 제안

(사이)
형지현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대학로와 낙산성곽 주거지의 경계에서 완충지대로 작용하는 필터 제안

Re-Mill; 방앗간의 현대적 재구성
황지선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과거 커뮤니티의 중심이었던 방앗간을 오늘날 시장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새로운 정착 구조와 지역 공동체의 가능성을 실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