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천 물 정화 체험관
체험형 설비시설
김의인 EUIIN KIM / Studio D
ookk10149@gmail.com
물의 정화 과정과 한강의 수생생물을 학습할 수 있는 체험학습 공간 설계
최근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체험학습 기회가 감소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안전에 대한 우려이다. 특히, 한강과 같은 자연 환경에서의 체험학습은 수변 공간의 위험성과 시설 부족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작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랑물재생센터 인근에 학생들이 안전하게 한강의 수생생물과 물 정화 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체험학습 공간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설계의 주요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 기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고려한 건축적 해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험학습 공간은 실내·외 학습 구역으로 나누어 설계하며, 수생생물 관찰 구역, 물 정화 과정 시뮬레이션 공간, VR·AR 기술을 활용한 가상 체험존 등을 포함한다. 둘째, 지속가능한 친환경 건축 기법을 적용하여 물과 생태계의 보존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연 정화 시스템을 활용한 친환경 수처리 기술을 도입하고, 물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을 활용한 바이오 에너지 생산 시스템을 적용하여 에너지 자립형 공간을 조성한다. 셋째, 공간의 개방성과 접근성을 높여 시민과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행 친화적인 동선을 계획하고, 이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한다.
이와 같은 설계를 통해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체험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환경 교육의 활성화와 한강 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향후 유사한 환경 교육 시설 설계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건축적 해법을 통해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체험학습 공간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