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Unbound School
금경화 Studio A, 사회 : 시설 재해석
학교는 더 이상 울타리 속의 제도 공간이 아니라 사람과 기억이 엮이는 살아 있는 공동체 구조가 된다.

POST 2.0
김민서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사람들이 다시 찾고 머무를 수 있는 우체국, 미래에도 유효한 공공 플랫폼으로서의 우체국 제안

TRACEBACK
김민서 Studio B, 감각 : 경험의 건축화
후천적 장애인의 감각 회복과 사회적 교류 촉진을 위한 보행 중심 재활시설 제안

Island Complex Transportation Terminal
김하연 Studio D, 기술 : 시스템 구축
가거도의 기존 방파제를 활용하여 공항, 항구, AAM, 커뮤니티가 결합된 복합 교통 인프라를 제안한다.

GATE OF MEMORY
김한이 Studio D, 감각 : 경험의 건축화
도시 경계를 해소하고 진입을 상징화한 지하보행광장

URBAN TERRARIUM
모상진 Studio, 감각 : 경험의 건축화
‘현대의 교회는 어떤 모습으로 사람과 도시에 기여할 수 있는가’

다시 피는 학교
백주원 Studio E, 사회 : 시설 재해석
누구에게나 익숙한 학교를 현 사회에 맞춰 노인을 위한 낯설지만 시니어 아카데미 센터로의 전환

3rd Headquarter
여재동 Studio A, 기술 : 시스템 구축
새로운 근무 환경의 유형으로, 거대한 단일 건물 대신 도심 교통망과 연결된 소규모 분산 거점 네트워크를 새로운 오피스 헤드쿼터 유형으로 제안한다.

URBAN LOOP – IN
염정민 Studio B, 기술 : 시스템 구축
자율주행차와 건축의 결합이 만들어낼 미래 도시공간의 프로토타입 제안

UPCAMPUSITY
유건 Studio D, 기술 : 시스템 구축
캠퍼스 도시 구조의 재해석을 통한 고밀도화 서울의 도심형 캠퍼스 타워 프로토타입 제안

Geomorphic Tectonic
이로운 Studio A, 감각 : 경험의 건축화
인간이 조건을 설계하고, 자연이 형태를 완성하는 감산형 구축 실험

경의선 미로길
이상엽 Studio E, 사회 : 시설 재해석
공간과 경험, 두 소비의 결이 만나는 지점: 연남동의 소비 흐름을 이어주는 새로운 방식 제안

다르게, 함께
임형주 Studio E, 사회 : 시설 재해석
세대와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하면서도 그 경계를 흐리는, 엇갈림과 적층으로 이루어진 초개인화 세대통합 공동주거

OFF THE RECORD, OPEN THE RECORD
최지성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도서관과 미디어 공간을 융합한 커뮤니티를 통해 자연과 도시, 제작과 소비의 경계를 허무는 복합시설 제안

Re-Mill; 방앗간의 현대적 재구성
황지선 Studio C, 사회 : 시설 재해석
과거 커뮤니티의 중심이었던 방앗간을 오늘날 시장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새로운 정착 구조와 지역 공동체의 가능성을 실험한다.